변광용 시장이 "강제이주는 없고 주민과 상생방안을 찾겠다"라고 수차례 공언하면서 강제이주설은 잦아들었다. 그렇다면 협의 이주인가. 속내는 그렇게 보인다. 최근 국민권익위의 요청을 받아 협의체를 만들어 논의하기로 했다니 다행이다. 협의기구에는 권익위와 주민, 거제시 환경부 국립공원 경남도 등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갈등 해결 전문가, 시민사회 등도 함께하면 좋겠다.
첫째, 주민과 상생방안 마련은 기본이다. 둘째, 자연환경 원형보존 원칙을 지켜야 한다. 주민들도 이를 원한다고 한다. 탐방객들이 지심도를 왜 찾는지 근본적 물음에서 출발해야 한다. 자연에는 간섭을 최소화하고 탐방로와 안전시설 등에 머물러야 한다.지심도가 수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생태용량을 파악해 적정 탐방객 수를 정하는 것이 우선이다.지심도의 자연생태자원 정밀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 않았다면, 하지 않았을 것이다) 셋째, 지심도만의 고유한, 독특한, 특색있는 콘텐츠를 명확히 해야 한다.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에너지자립 섬, 생태순환 섬, 일회용품 없는 섬, 탄소 제로섬, 쓰레기 제로섬, 존재 자체가 관광자원인 섬 등 새로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시는 20세기 관광 개발 계획만을 답습하는 것으로 보인다. 숫자와 양, 물량 논리, 낙수효과에 말이다.시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제 후 시립(군립)공원으로 전환해 마음대로 요리하고 싶은 모양이다. 최근 공청회서 이를 숨기지 않았다. 국립공원 3차 구역 조정에서 현재 군립공원과 교환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공청회서 공개한 생태공원 조성계획 밑그림은 낡았다. 체험관 등 9동 신축에 150억, 출렁다리 18억, 하수처리장 50억, 탐방로, 전망대 개설 등 모두 280억 규모다.그러나 제일 중요한 예산 확보계획은 없다. 공공예산인지 민간투자인지. 섬의 주인인 주민과 자연환경과의 상생방안이 없다. 국립공원과 환경부의 동의가 필수적인데, 이 계획으로는 동의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가치의 전환, 생각의 변화 역발상이 필요하다.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가장 크게 하는 것이라는 말도 있다.
섬은 섬으로 두어야 한다.고립, 비접근성, 신비, 원시성의, 꼭 가보고 싶은.토, 일 주말 휴가철 꽃 피는 봄철에 집중시킬 게 아니라 월화수목금토일 찾도록 분산효과 필요하다.주민, 원주민도 행복한 관광지 되어야 지속할 수 있다. 한탕주의, 바가지, 교통난, 쓰레기, 자연훼손, 과잉관광 아니 되오.
<저작권자 ⓒ 환경이슈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목록
|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