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조류인플루엔자(AI),방역소독 환경안전 우려

친환경 약품이라지만 믿을 수 없어 ‘불안감’
축산밀집지역 방역 요충지 방역시스템 도입
경남도, 축산종합방역소 거점소독기능 강화

허재현기자 | 기사입력 2017/07/09 [11:53]

조류인플루엔자(AI),방역소독 환경안전 우려

친환경 약품이라지만 믿을 수 없어 ‘불안감’
축산밀집지역 방역 요충지 방역시스템 도입
경남도, 축산종합방역소 거점소독기능 강화

허재현기자 | 입력 : 2017/07/09 [11:53]

 

▲ 방역약품이 날려 주변으로 유출되 2차적인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재앙이 계절적 영향을 벗어나 전국을 뒤덮고, 야생조류의 배설물과 사체에서 AI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언제 어디서 농가가 사육하는 닭과 오리 등 가금류로 확산될지 모르는 상황으로 가축사육 농가는 1년 내내 좌불안석(坐不安席)이다.


국회 위성곤의원(더불어민주당,서귀포시)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작성한 ‘시·군별 사용중인 소독약품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 소독효과에 문제가 있거나, 부적절한 유독성 소독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무려 3분의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경북도내 23개 모든 시·군에서 사용하는 방역약품에 환경호르몬과 발암성 성분이 포함됐다는 주장이 나와 실태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경북도내 각 시·군의 근착자료에 따르면, 모든 기초지자체가 2014~2015년 환경호르몬과 발암성 성분, 어독성 맹독성분이 든 방역약품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맹독성분이 포함된 약품은 함량 기준이 1% 이상만 되어도 수생생물에 치명적이며, 사람이 삼킬 경우 매우 유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거점소독시설에서의 소독약품 사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는 해당 약품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을 정도로 희석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으로 일관해 왔다.


이처럼 상황이 심각해지자 각 지자체에서는 소독약을 서둘러 바꾸고 있지만, 이마저도 유해성에 대해 믿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편, 환경부 독성 물질을 포함한 소독제의 인체와 환경에 대한 위해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고 희석 배율이 실제 어느 정도가 될지는 알 수 없다”며 “무해 소독약품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거점방역소가 없는 곳은 임시 방역시설로 얼마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최근 전국을 휩쓴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과 관련해서도 유해성 논란이 있는 만큼 고독성 소독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고독성 방역소독제는 생태계 훼손뿐 아니라 자칫하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학계의 보고이다. 정부는 엄격한 안전기준을 정해 유해성 높은 물질 사용을 억제하고, 지자체는 사용매뉴얼과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방역 거점시설에서 근무중인 관계자는 “지금은 방역약품이 친환경제품으로 바뀌고 무독성의 무농약 성분으로 된 약품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방역을 할때면 무더운 날씨에도 방역복과 마스크를 착용하고 방역을 한다” 며 “아무리 친환경 약품이지만 병원균을 죽이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이다 보니 인체에도 유해할 것이며 농작물에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 않겠냐”며 부정적인 속내를 보였다.


뿐만아니라,경남도는 2020년까지 전 시.군에 축산종합방역소를 1개소 이상 설치하여 도내 축산차량 거점소독 기능을 강화키로 하였다. 개소당 4억8천6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축산종합방역소는 지난해 2개소(밀양,거제)가 선정되어 설치,추진 중이고 올해는 3개소(창녕,함양,거창)를 설치한다.

 

 AI나 구제역 등 악성 가축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일정기간 설치하여 운영하는 거점소독시설은 발생상황이 종료되면 철수하게 되지만, 축산종합방역소는 방역 요충지에 연중 상시 운영하면서 축산차량에 의한 가축질병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허재현 기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